한국어 강사 되는 법 (3탄)_한국어교원2급 자격증 취득 방법 및 가이드(feat.후기 경험담)
안녕하세요-! Jane입니다.
오늘은 저번 포스팅에서 한국어 교원 3급과 2급 차이점을 다룬 것에 이어서
제가 수료해서 얻은 한국어 교원2급 자격증 취득방법 및 후기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.
한국어교원 2급 - 학사학위와 자격증 동시에 취득
한국어교원 2급과 3급의 큰 차이는 학사취득인 거 같아요!
한국어교원 2급은 학사학위 취득과정이라서
대졸 학사학위를 가진 사람들의 경우
복수전공 같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될 거 같아요!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3KgA/btrg6uE7oga/q0V4ukxyF6Mue2TpkL7QD0/img.jpg)
학점은행제로 복수전공을 하는 개념입니다.
학교 다닐 때 복수전공(이중전공)하면
해당 전공학점 이수조건이 있는 것처럼,
대졸자의 경우 48학점을 채워야 학점이 인정되어
저는 2학기 동안 각각
1학기 : 3학점*8과목
2학기 : 3학점*7과목
+실습 3학점(오프라인) 연달아 수강해서
각각 24학점+21학점+3학점 해서
약 8개월 정도 걸렸습니다.
사실 일하면서 8과목 하기엔 좀 벅찰 거 같아요.
저 땐 제가 일을 따로 하지 않은 상태였어서
8과목이 가능했지만, 은근 피곤하고
매일 듣지 않으면 밀려요 ㅠㅜ
급한게 아니라면 시간을 두고
1년~1년반 정도 생각하고
천천히 따는 것도 괜찮을 듯합니다.
그리고 가장 큰 장점은 각 과목당 중간/기말고사 시험 외에
자격증 시험이 따로 없다는 점입니다!
3급은 시간이 적게 걸리고 수업 수강 시간이 짧은 대신에
공부를 해서 자격증 시험에 합격을 해야하지만
2급은 학점 이수로 이루어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dtrxd/btrg95w5Zxs/qFRKkH620QaYSX1D98LFxK/img.jpg)
한국어교원 2급 취득 가이드
1. 시작
-수업을 들을 교육원을 알아보고 선택한다.
2. 수업수강
-한 학기당 몇 학점을 들을지, 어떤 과목을 수강할지 결정한다.
-과목 선택시에는 전공필수 과목들을 체크해보고 전공필수 과목 위주로 먼저 학점을 이수하는 것을 추천한다.
-수업은 일주일 단위로 열리지만, 한 수업당 들을 수 있는 기간은 2주이므로 오프라인 수업보다는 시간적 여유가 있다.
but 느슨해지기 쉬워 은근 2주의 시간이 길게 느껴지지 않고,
밀리기 시작하면 다음 강의진도+이전 진도를 한꺼번에 들어야한다.
-수업을 다 들어야 출석체크 인정이 된다.
3. 과제 및 시험
-퀴즈
-각 과목당 퀴즈라고해서 5문제 정도되는 간단한 문제풀기가 있다.
-과제
-과제는 각 과목마다 약 1달간의 기간을 두고 올려준다.
해당 주제에 맞는 과제를 해서 제출하면 된다.
이것도 과목 수가 많으면 꽤 시간이 걸리므로 미리미리 하는 것을 추천한다.
-시험
온라인으로 오픈북이며, 가이드해주는 담당자가 있다면
문자로 미리 팁을 알려준다. 시험범위 및 시험응시시간 등을 잘 지켜서 보면 된다.
시험 응시기간은 약 3-4일 이었던 거 같다.
오픈북 테스트니 그렇게 어렵지는 않지만 그래도 책을 보고 시험을 봐야
시간안에 잘 찾아서 답을 제출할 수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fFZv8/btrg7Ib3Sii/Q8S4jwiURS1HVNYu9Bj3hK/img.jpg)
-한국어교원 2급 실습
나는 코로나 직전에 실습을 해서 경희대 평생교육원에서 오프라인 실습을 했다.
실습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아서 다음 포스팅에서 실습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다.
이상으로 오늘은 한국어교원 2급 시작을 위한 가이드를 포스팅해보았습니다.
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,
다음에는 한국어교육 실습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:)
그럼 오늘도 모두 좋은 하루되세요!
Have a good day~!